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예초기인 게시물 표시

조상숭배, 추석이 돌아오면 벌초를 하러 고향으로 간다. 1년에 한 번은 산소에 있는 무덤의 잡초를 제거해 주어야 한다. 올해에도 벌초를 하러 갔다.

올해에도 변함없이 추석이 돌아오고 있다. 추석을 맞이하는 준비는 벌초로부터 시작이 된다. 추석이 돌아오기 전 한 달 전에서 1주일 전까지이다. 가장 교통량이 급증하는 것은 2주전부터 1주전이 가장 혼잡하다. 물론 불가피한 경우는 추석 당일에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날은 피하는 것이 좋다. 9월 13일이 추석이고, 앞뒤로 연휴이다. 추석이전에 벌초를 하는 것이 상례이다. 시간이 바쁘지만 시간을 내어야 한다. 그래서 9월 2일에 벌초를 하기로 시간을 정하였다. 나는 일요일 밤에 내려가기로 하고 아들도 일요일 밤에 내려가기로 하였다. 서로 다른 지역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함께 한 차로 가면 좋겠지만 이번에는 사정이 그렇게 되지 않았다. 아들은 회사에서 월차를 내서 일요일 밤에 회사가 있는 곳에서 출발하였다. 내가 먼저 출발을 하여 도착하니 밤 12시가 되었고, 아들은 자정을 넘어 20분쯤에 조금 늦게 도착하였다. 몸이 불편한 부모님이라 기다리지 말라고 하였다. 열쇠는 아는 곳에 넣어 두라고하였다. 도착하여 열쇠를 찾아서 문을 열고 들어갔고, 주무시다가 도착한 부스럭거리는 소리를 듣고 깨어 일어나셨다.  인사를 하고 이야기를 나누고 아들도 도착하여서 한참이야기를 나누고 새벽 2시가 되어서 잠들었다. 시골은 아침이 이르다. 저녁도 빨리 돌아온다. 그렇기 때문에 벌초하러 올라가는 것도 일찍 가기로 하였다. 월요일 아침 7시에 출발하여 집에서 한 300 미터 거리에 있는 군부대 앞에 차를 세워놓고 군부대 담장을 끼고 난 길을 따라 산으로 올라갔다. [벌초하기 전의 산소 무덤의 상태] [벌초하기 전의 모습] 준비물은 휘발유를 사용하는 예초기, 장화, 보충할 휘발유통, 장화, 목장갑, 보호모자, 긴팔 옷, 낫, 갈퀴를 가지고 갔다(빠진 것은 벌레방지 스프레이, 삽, 땀 닥을 수건과 간식). 예초기는 요즘에는 배터리를 사용한다고 하는 편리함이 있지만 사용시간이 좀 걸릴 경우는 휘발유 예초기가 ...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한다. 조상에 대한 예의이다.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한다. 작년에도 벌초를 하였다. 산소가 산 중턱 위에 있다. 군 부대 훈련장으로 있는 곳에 산소가 자리를 잡고 있다. 군 부대에서 산소 주위를 둘러 조상숭배라고 하는 표지와 둘레 줄을 해 주었다. 휘발유를 넣고 사용하는 예초기를 가지고 간다. 벌초를 낫으로 하다가 시간도 많이 걸리고 힘이 들어 예초기를 준비하였다. 예초기는 차를 산 밑에 주차하고, 거기서부터 등에 지고 올라간다. 아래 사진은 "풀베는 기계"로 깍는 장면이다. We have a cut the weeds ahead of Chuseok(korean thanksgiving day). Last year, we also had a cut the weeds . Grave is on the hillside. Grave is in place at the military training ground. The army troops surrounded the grave and lined it up with signs called ancestor worship. Add gasoline and take the machine with you use. We were doing the sickle with the weeds, and it took a lot of time and energy to prepare the "pulbe machine.". The precinct park the car under the mountain, and from there, it goes up on its back. The picture below shows a clipping with a "pulbe machine." - 벌초를 깨끗이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