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인문학적시각예수냐우상이냐인 게시물 표시

김대응: 인문학적 시각 예수냐 우상이냐 | 잊혀진 신사참배 강요 거부 사건의 재발견 | 동아기독교 침례교 순교자를 기억하라

  김대응 , 인문학적 시각 , 예수냐 우상이냐   민경배 ( 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     이번에 시인이시오 역사학자인 김 대응 박사님께서 우리 한국교회의 일제 강점기 신사참배 형극 ( 荊棘 ) 역사에 대한 아주 놀랄만한 대본을 상재 ( 上梓 ) 하시었습니다 . 본서는 한국교회사의 방법론에 있어서 아주 혁신적인 최초의 그리고 독특한 시각을 설정하고 역사를 투시하고 서술하는 시도를 수행하시었습니다 . 그리고 그것은 실로 놀랄만한 호소력으로 역사의 실체를 독자들 몸가에 절묘 ( 絶妙 ) 하게 다가서게 하였고 , 마침내 지난 역사의 실상과 그 의미에 대한 실사적 ( 實寫的 ) 관철 ( 貫徹 ) 에 이를 수 있는 경지에까지 가게 하는 데에 그 문필 ( 文筆 ) 의 능 ( 能 ) 을 다 하시었습니다 . 첫눈에 우리는 본서의 혁신적인 파격적인 타이틀에 눈이 갑니다 . 교회 역사서인데 < 인문학적 ( 人文學的 ) 시각 >, 곧 영역 ( 英譯 ) 하면 <Humanistic View Point> 인데 인간적으로 역사를 본다는 뜻입니다 . 우리 인간의 입장에서 , 유한하고 감정에 시달리고 연약하고 변화무쌍한 , 그러나 생명력 넘치고 의기충천 ( 意氣衝天 ) 하는 그런 인간의 입장에서 일제 치하 신사참배 저항의 역사를 본다는 것입니다 . 그 순교사를 읽는다는 것입니다 . 이것은 기독교 역사를 교리적으로 교회적으로 신학적으로 볼 때의 개념적 이해 범위 , 곧 도덕적 이성적 사회적 구도 , 그런 데에서 벗어나 인간의 정황 그 시각에서 한국기독교 그 일제하의 수난을 피부로 느끼도록 구도화하였다는 뜻입니다 . 인간 ( 人間 ) 신앙인이 일제 ( 日帝 ) 라고 하는 거대 기구의 혹독한 현실의 신사참배 강압에서 견뎌내고 승리하거나 굴복하는 과정을 보다 더 적나라 ( 赤裸裸 ) 하게 소박하게 대본화하였다는 뜻입니다 . 이런 것을 실존적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 역사가 희곡화 ( 戱曲化 ) 해서 마침내 시문학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