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믿음과행위인 게시물 표시

믿음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기본적으로, 믿음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은 너무나 많이 있다. 하지만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이것이 정리가 되지 않으면 믿음으로 하는 것인지 욕심으로 하는 것인지 혼란스럽게 된다. 자신은 믿음으로 하는 것 같지만 아닌 것일 수도 있다. 믿음으로 할 수 있는 제일 우선순위는 믿음으로 구원을 받은 것이고, 믿음으로 구원을 받는 것이다. 여기서 믿음이란 예수를 믿음으로 하는 것을 뜻한다. 다른 믿음은 믿음이라고 할 수 없다. 예수를 믿음으로 구원을 받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제일은 기도하는 것이다. 기도는 하나님께 간구하는 것이다. 이러 저러한 것을 도와주십시오. 살아계신 하나님 아버지께 영으로 기도하는 것이다. 이 기도는 정상적인 예배로 이어진다. 믿음으로 할 수 있는 제 이는 예배하는 것이다. 예배할 때는 믿음 생활에 필요한 것들이 종합선물세트처럼 함께 들어있다. 기도가 있고, 찬송이 있고, 말씀이 있고, 헌신이 있고, 초청이 있고, 축복이 있다. 예배는 믿음으로 믿은 자가 실천해야 할 전공 필수 과목이다. 예배 생활을 정상적으로 하지 않는 기독교인은 불량 기독교인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제 삼은 전도하는 것이다. 기도와 예배를 통해서 얻은 큰 기쁨을 전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어서 누구에게라도 구원받은 기쁨을 전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전하는 것이 전도다. 길거리 전도, 가족 전도, 친구 전도, 회사 동료 전도, 이웃 전도, 상하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도 전도, 만나는 사람과의 네트워크에서 예수를 믿지 않는 분을 발견하면 예수 믿기를 권하는 것이다. 이것은 믿음으로 사는 사람의 평생의 목표이자 목적이다. 제 사는 믿음으로 선한 싸움을 싸우는 것이다. 믿음으로 사는 사람은 어떤 분야의 경계가 없다. 모든 경계를 넘어 사람을 만나는 곳에서 믿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이 믿음은 산소와 같고, 물과 같은 것이다. 믿음의 영역은 곧 사람이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든 어떤 직업을 가졌든 예수를 전하기 위하여 가까이 ...

실천하는 자, 그는 기독교인

[김대응칼럼] 실천하는 자, 그는 기독교인 [참여하는 그리스도인이 애국자입니다] 기독교인의 특징은 기도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도는 홀로 골방에서 하는 것이다. 아무도 모르게 하는 것이다. 나는 기도한다. 나는 하루에 몇 시간 기도한다. 나는 40일 금식기도 했다. “나는 기도했다.”고 말하는 것은 자랑이나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의로움을 드러내는 것이다. 나는 믿음이 이 정도의 사람이야 하고 거만을 떠는 것이다. 기도한 것은 하나님과 자신과의 비밀이다. 무슨 기도를 했는지 말할 필요도 없다. 언제 기도했는지, 몇 시간을 기도했는지 그것도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기도는 자신의 덕을 쌓는 것이다.  사람에게 보이려고, 사람에게 알리려고 하는 기도는 위선인 것이다. 그런 기도를 바리새인들이 했다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마태복음 6장 5절에 “또 네가 기도할 때에 위선자들같이 되지 말라. 그들은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회당 안에서와 길 모퉁이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하느니라.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그들은 그들의 상을 받은 것이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곧 기도한 것 사람들에게 나타내거나 알리지 말라는 것이다. 기도는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소문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게 나타냈을 때는 그 상은 이미 끝났다는 것이다. 기도는 이렇게 하라고 마태복음 6장 6절에 “그러나 너는 기도할 때에 너의 골방에 들어가 방문을 닫고, 은밀히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그러면 은밀히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드러나게 갚아 주시리라.”고 말씀하고 있다. 곧 기도는 드러내지 않고 하는 것이고, 그 결과는 응답으로 하나님이 나타나게 해 주신다는 것이다. 곧 기도응답의 상급을 하나님이 친히 주신다는 것이다. 기도는 사람들이 모르게 비밀로 하고, 하나님과 동적인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 대화의 내용이나 형식에 대해서 사람에게 드러내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면 기도한 내용의 응답이 온다는 것이다. “나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