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김대응칼럼인 게시물 표시

실천하는 자, 그는 기독교인

[김대응칼럼] 실천하는 자, 그는 기독교인 [참여하는 그리스도인이 애국자입니다] 기독교인의 특징은 기도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도는 홀로 골방에서 하는 것이다. 아무도 모르게 하는 것이다. 나는 기도한다. 나는 하루에 몇 시간 기도한다. 나는 40일 금식기도 했다. “나는 기도했다.”고 말하는 것은 자랑이나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의로움을 드러내는 것이다. 나는 믿음이 이 정도의 사람이야 하고 거만을 떠는 것이다. 기도한 것은 하나님과 자신과의 비밀이다. 무슨 기도를 했는지 말할 필요도 없다. 언제 기도했는지, 몇 시간을 기도했는지 그것도 이야기할 필요도 없다. 기도는 자신의 덕을 쌓는 것이다.  사람에게 보이려고, 사람에게 알리려고 하는 기도는 위선인 것이다. 그런 기도를 바리새인들이 했다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다. 마태복음 6장 5절에 “또 네가 기도할 때에 위선자들같이 되지 말라. 그들은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회당 안에서와 길 모퉁이에 서서 기도하기를 좋아하느니라.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그들은 그들의 상을 받은 것이니라.”고 말씀하고 있다. 곧 기도한 것 사람들에게 나타내거나 알리지 말라는 것이다. 기도는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소문내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게 나타냈을 때는 그 상은 이미 끝났다는 것이다. 기도는 이렇게 하라고 마태복음 6장 6절에 “그러나 너는 기도할 때에 너의 골방에 들어가 방문을 닫고, 은밀히 계신 네 아버지께 기도하라. 그러면 은밀히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드러나게 갚아 주시리라.”고 말씀하고 있다. 곧 기도는 드러내지 않고 하는 것이고, 그 결과는 응답으로 하나님이 나타나게 해 주신다는 것이다. 곧 기도응답의 상급을 하나님이 친히 주신다는 것이다. 기도는 사람들이 모르게 비밀로 하고, 하나님과 동적인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 대화의 내용이나 형식에 대해서 사람에게 드러내지 말라는 것이다. 그러면 기도한 내용의 응답이 온다는 것이다. “나는 기...

끝까지 순종하는 복

[김대응칼럼 25] 끝까지 순종하는 복 obedient well-being to the end 한 해의 마지막 달을 맞이하였다. 한 해의 시작이 어제 같았는데 아니 벌써 라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는다. 멀게 여유만만하게만 여겨졌던 한 해의 끝이 이렇게 빨리 다가온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조금 더 열심히 하였더라면, 그때 그 기회를 잡았더라면, 그때는 왜 그랬을까 하는 기회를 선용하지 못한 뉘우침이 느껴지는 달이다. 보람 있는 한 해를 지나온 기쁨보다는 그렇지 못한 시간의 흐름이 아쉽기만 한 것은 누구나 느끼는 감정일 수 있다. 한 해의 끝은 끝인 동시에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시작이기도 하다. 끝과 시작 사이의 한 달인 12월은 만감이 교차하는 달인 것은 분명하다. 아쉬운 감정에 이끌리기보다 한 해 동안에 하나님이 베풀어주신 축복의 수를 헤아려 보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지금 이 순간까지 올 수 있었던 사실들에 대한 헤아림을 세어보는 것이다. 건강을 주신 것 하나, 가족의 사랑 가운데 지내온 것 둘, 교회를 통한 기도와 격려 셋, 학교생활을 통한 열매 넷, 친구들과의 관계 가운데 얻은 것 다섯... 등등 이러한 사실을 세어보면 감정이라는 것에 기울지 않고, 의지적으로 하나님이 베풀어주신 것에 대한 감사가 넘쳐 날 것이다.  연말연시라는 분위기는 자칫하면 감정, 느낌으로 흐를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적어도 그리스도인이 걸어가는 길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가는 것이어야 한다. 내 감정, 내 느낌이 아닌 하나님이 내게 베풀어주신 각양 각종의 축복의 사실들을 냉철하게 적어보는 것이다. 하나씩 노트에 적다보면 모든 것이 다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의 분량은 의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잠시라도 잊게 되면 믿음과 상관이 없는 말을 할 수가 있다. 하나님이 주신 것이 많아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면 어리석은 사람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의 백성인 우...

감사하라 감사하라 감사하라

[김대응칼럼 24] 감사하라 감사하라 감사하라 Thank you. Thank you. Thank you. 감사는 그리스도인의 기본생활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에서 열까지 모든 것이 감사하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태어나 존재하는 것 자체가 감사한 것이다. 무슨 좋은 일이 있어서 감사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다. 조금 나쁜 일이 있어도 이것을 견디면 좋은 일이 있겠지 하는 것은 조금 인생에 연단을 받은 사람은 할 수 있는 일이다. Gratitude is the basic life of a Christ. Thank you for everything from one to ten. I am grateful to be born and present as a people of God. It's anybody's job to thank for something good. It's something a little bad, but it's something good to be able to do if you're a little bit more grounded in life. 아주 나쁜 일이 일어났는데도 감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죽을 뻔 하였는데 죽지 않고 살아났을 때 사람들은 말한다. 운이 좋았어! 다행이야!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인에게는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지 않는다. 하나님이 살려 주셨어! 인생의 생사화복을 다스리시는 분이 하나님이라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It's never easy to be thankful for something very bad has happened. People say when they almost die and they live without dying. You were lucky! That's a good t...

하나님을 알 만한 사람과 하나님을 아는 사람의 행동

[김대응칼럼 23] 하나님을 알 만한 사람과 하나님을 아는 사람의 행동 the actions of those who know God and those who know God.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였다. 이 사람은 하나님을 알도록 만들었다. 하나님의 마음을 알도록 능력을 주셨다. 하나님께 순종하도록 그 사람의 마음에 자율적인 선택권을 주셨다. 자율권으로 순종과 복종의 선택이 주어졌다, 순종은 기쁨으로 따르는 것이고, 복종은 원하지 않아도 억지로라도 따르는 것이다. God created man. This man made me know God. He gave me the power to know God's heart. He gave his heart an autonomous choice to obey God. By autonomy, obedience and obedience are chosen; obedience is followed by joy; obedience is done by force, if not desired. 하나님은 자신의 뜻을 사람에게 분명히 말씀하였다. 이것은 내 뜻이고, 저것은 내 뜻이 아니다. 내 뜻을 따를 때에는 축복이고, 내 뜻을 따르지 않을 때는 저주할 것이라고 명령을 하였다. 사람이 하나님과 함께 있을 때에는 하나님의 뜻을 따랐다. 그러나 하나님이 함께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시간에 다른 생각을 가진 이와 있을 때가 문제다. God made his will clear to man. This is what I mean, that is not what I mean. He gave orders that they would be blessed if they did not follow my will, and that they would curse if they did not follow my will. When men were with God,...

변함없는 믿음의 사람을 축복하시는 하나님

[김대응칼럼22] 변함없는 믿음의 사람을 축복하시는 하나님 God bless the man of unswerving faith. 사람은 변한다. 그 사람 속에 있는 믿음도 변한다. 그렇게들 통상적으로 이야기한다. 그것은 그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는 그렇다. 그것이 일반적이라면 그 일반적인 그룹의 삶의 스타일로 살아가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고 그런 이야기는 성경에도 있고, 세상에도 있다. 우리가 성경 속에서 받아야할 교훈은 그런 것이 아니다. 그런 많은 부류의 사람들의 믿음을 본받고, 거기에 공감을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그 넓은 길을 갈지라도 그렇지 않은 길을 가는 사람들을 본받고자 하는 것이다. People change. The faith in him changes. That's what they usually say. That is the case in their story If it is common, it is natural to live in the general group's lifestyle. There's a story like that in the Bible, and there's a story in the world. That's not what we need to learn from the Bible. I am not trying to emulate the beliefs of so many people and sympathize with them. Countless people want to emulate those who go the wide way, but not the way they go. 믿음의 문은 대문이 아니라 좁은 문이라고 했다. 믿음의 길은 편안한 길이 아니라 십자가의 길이라고 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믿음 생활하는 것은 어렵게 할 필요가 없이 편안하게 해야지요 한다. 누가 어렵게 하는 사람은 아무도 ...

친구다운 친구를 찾기 위한 기도

[김대응칼럼 21] 친구다운 친구를 찾기 위한 기도 a prayer for finding a friend of one's own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려면 그 사람의 친구를 보면 알 수 있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려면 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바르게 들으면 알 수 있다. 더 정확히 그 사람을 알려면 그 사람이 한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지를 맞추어보면 알 수 있다. 사람은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사람이 주변에 많이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You can tell by looking at a person's friend if you want to know who he is. If you know what the person is, you can tell by hearing what he or she is saying correctly. If you want to know the person more accurately, you can tell if what he or she has said and what he or she has done. One lives in a relationship with a person. He who has many people around is happy. 더 행복한 사람은 그들 중에 가족처럼 지내는 친구가 있으면 더 좋다. 더 행복한 사람은 친구이면서 가족 이상으로 함께할 수 있는 관계이면 이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을 얻은 행복자이다. 누구나 그런 이상향의 친구를 원한다. 내가 그런 친구를 원한다면 나도 그런 친구가 될 수 있도록 상대방에게 다가가는 노력과 소통이 필요하다.  A happier person is preferable to have a family friend among them. A happier person is a friend and a happiness perso...

눈앞에 있는 것을 보고, 어느 쪽에 설 것인가?

[김대응칼럼 20] 눈앞에 있는 것을 보고, 어느 쪽에 설 것인가? When you see what's in front of you, which side are you going to stand on? 사무엘이 사울에게 말했다. 여호와께서 번제와 다른 제사를 그의 목소리를 청종하는 것을 좋아하심 같이 좋아하시겠습니까?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숫양의 기름보다 낫습니다.  이는 거역하는 것은 점치는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악한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습니다. 왕이 여호와의 말씀을 버렸으므로 여호와께서도 왕을 버려 왕이 되지 못하게 하셨습니다. Samuel said to Saul, Would the Lord like to hear his voice at burnt offerings and other sacrifices? Sunjong is better than a priest, and it is better to listen than the oil of a ram. For this is the sin of divination, for stubbornness is the sin of worshipping evil idols. For the king has rejected Jehovah's words, and the LORD has not let him become king, either. 이 짧은 내용은 사무엘과 사울 왕의 대화의 한 부분이다. 사무엘이 사울 왕에게 한 내용을 풀면, 하나님께 어떤 종류의 좋은 최상급의 예물을 드린 다해도 그것은 소용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받는 것보다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좋아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제 멋대로 해석을 해서 순종하지 않고, 오히려 거역하면서 하나님이 이걸 좋아하실 것이라고 하면서 바칠 최상급의 선물을 가지고 오는 것은 받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

마음이 괴로울 때 해야할 일

[김대응칼럼 19] 마음이 괴로울 때 해야 할 일 What to do in times of distress 마음이 괴로울 때 어떻게 하여야 할까? 저마다 마음의 상태가 말이 아닐 때 대처하는 방법이 각기 다르다. 사람의 성격에 따라, 환경에 따라, 정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을 한다. 긍정적인 해결 방법으로 괴로움을 극복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  What should I do when my heart aches? Each of them has different ways of coping with situations in which he or she is in a state of mind. express differently depending on one's character, environment, and context. There's nothing wrong with overcoming the pain with a positive. 하지만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마음에 품고 살아가고, 마음에 쌓이게 되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이래서 생기는 병이 울화병이고, 심해지면 이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되기도 한다. 울화가 풀리지 않으면 몸으로 그 상태가 드러나게 되고 육체를 넘어뜨리게 까지 한다. However, the problem becomes serious when it is built up in the mind while the problem remains unresolved. This is the disease that makes you angry, and if it gets worse, you may lead to death If the anger does not ease, the condition will be revealed by the body and cause it to fall. 울화를 일으키는 상황은 먼데 있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가까이 가족 안에 있다. 모르는 사람은...

그 사람들이 살아있는 동안은 행복하였다

[김대응칼럼 18] 그 사람들이 살아있는 동안은 행복하였다 They were happy as long as they were alive. [삶이 행복한 순간들] 행복할 때는 행복인 줄 모르는 것 같다. 거저 얻어진 평안인 줄로 안다. 고요하고, 평온한 가운데 살 수 있는 행복은 힘써 애써 얻은 값을 지불한 대가 후에 오는 결과로서의 선물인 것이다. 그러한 삶의 질을 꿰뚫어보는 이들이 함께 사는 동안은 서로 의지가 되고, 위로가 되며, 무슨 일이든지 발생을 하면 함께 하여 헤쳐 나갈 수 있는 친구들이 되기에 늘 삶의 버팀목은 든든한 것이다. I don't think I know happiness when I'm happy. I think it's a cheap peace. The happiness of being able to live in quiet, serene is a gift as a result of the hard-earned payment. It is always a strong support for those who understand the quality of life to become friends who are willing, comforting, and able to cope with anything that happens. 어디에 있어도 무슨 일을 만나도 연락만 하면 달려오고 함께 울고 함께 웃어 줄 수 있는 이들이 동시대를 사는 동안은 행복한 것이다. 그러나 시간은 지나간다. 우리 곁에 있던 사람들이 한 사람씩 어디론가 훌쩍 떠나기 시작하면 점점 외로움은 더하여 간다. 함께 동시대를 공감하며 살 수 있는 이들의 의지의 기둥들이 작아지고, 적어지기 때문이다.  It is a happy thing for those who can come and cry together and laugh at each ...

위급한 상황에 몰렸을 때

[김대응칼럼 17] 위급한 상황에 몰렸을 때 When I was in an emergency [두 사람이 친구되면 의지가 된다] 두 사람이 한 사람보다 나음은 한 사람이 넘어지면 곁에서 일으켜 줄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한 사람은 외롭지만 두 사람은 따뜻하다. 의지하고 힘이 되는 두 사람이 있으면 행복하다. 한 사람의 문제는 한 사람이 풀 수 없을 때가 있다. 반드시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다. 그럴 때 힘이 되는 친구는 곁에 있는 사람이다.  Two people are better than one, because if one falls, there is someone who will help him get up. One person is lonely, but the two are warm. I'm happy to have two people who depend on and are supportive. There are times when a person cannot solve a problem. There are times when you need help. A friend who can be supportive is a person who is around. 잔 심부름부터 큰일에 이르기까지 서로가 도우며 살아가는 과정이 행복의 길이다. 돈이 많아서 펑펑 쓴다고 행복할까? 돈이 없어서 사고 싶은 것 못 사서 불행할까? 자신의 소유의 많고 적음에 따라 행불행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물질적인 것들은 언제든지 예기치 못한 때에 내 손에 있어도 내 맘대로 할 수 없는 날이 온다. 다만, 후회 없이 살려면 또는 보람 있게 살려면 내가 누군가를 위하여 베푼 것만이 나의 것이라는 것을 빨리 깨달았으면 한다. 아직도 누군가를 위하여 베풀지 못하고 손아귀에 움켜쥐고 ‘나는 부자다’ 하고 있으면, 가장 가난한 불쌍한 빈자貧者...

열매 이후의 열매를 위하여

[김대응칼럼 16] 열매 이후의 열매를 위하여 for the fruit after the fruit [추석에는 벌초를 한다] 한 해의 열매를 나누는 계절이 추석이다. 봄부터 달려온 열매의 계절 가을의 추석은 베푸는 계절이다. 있건 없건 자신들에게 주신 축복들을 정성으로 챙겨서 서로에게 사랑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이다.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할 수 있는 마음의 선물을 나누는 것이다. The season of sharing the fruits of the year is Chuseok. The season of fruit from spring, Chuseok in autumn is the season of giving. With or without, the blessings given to them are to convey their love to each other. Sharing gifts of the mind that can be done as it is, as it is not. 어떤 때는 부담이 되기도 하고, 어떤 때는 즐거움이 되기도 한다. 기억해야 할 것은 하나님의 백성에겐 하나님의 공급하심이 있다는 것을 믿는 것이다. 그 믿음대로 역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없는 데서도 있게 하시고, 있는 것도 바람과 같이 사라지게 하시는 분이다. 있는 것도 하나님의 것, 없는 것도 하나님의 것이다. 무無든 유有든 하나님의 축복을 바라고 기도하며 사는 자에겐 모자란 것도 넘칠 것도 없이 그때마다 적절하게 공급을 하시고 나누게 하신다. Sometimes it's a burden, sometimes a pleasure. All you have to remember is to believe that the people of God have God's supply. Because history happens accor...

오늘의 시 / 가을에는 감사한다

[ 김대응칼럼  15]  오늘의 시/ 가을에는 감사한다 Today's Poetry/   Thank you in autumn [옥수수밭에 강냉이가 익어간다] 가을에는 in autumn 한가위가 돌아온다 Hangawi is coming back 넉넉한 가운데 날을 맞아 in the midst of plenty, on the occasion of the day 우리 모두 넉넉한 마음이 된다 We all have enough hearts 모든 시름을 잊고 over all one's troubles 서로 만날 날을 고대하며 Looking forward to seeing each other 온갖 것을 준비하며 in all sorts of arrangements 고향으로 돌아갈 마음에 들떠있다 be excited to go home 우리 마음을 움직이는 이 날 , The day we move our minds, 우리는 들뜬 동심으로 We're excited childlike about it. 가을에 하나님이 주신 풍성함으로 God's bounty in the fall 가족과 이웃과 친지들에게 To the family, to the neighbors, to the relatives 넉넉함을 베푸는 마음이 넓어진다 I feel more generous 가을에는 in autumn 한가위가 돌아온다 Hangawi is coming back 고향으로 가는 길 돌아오는 길 On my way home the way back 다 들뜬 동심으로 우리는 감사할 줄 안다   full of excitement childlike We know how to appreciate it - " 나도 믿음을 가지고 싶다 ....

이때에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김대응칼럼 14] 이때에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are we going to do at this time? [ 촛불시위로 거짓된 정부를 바꾸자] 상황이 몰릴 때가 있다. 그때가 갑자기 오는 것은 아니다. 이미 징조가 있었을 것이다. 설마 하고 그런 징조를 애써 무시했을 뿐이지 이미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몰리는 징조는 항상 예고되게 되어 있다. 그런 예고를 빨리 알아차리고 대비하는 자는 피하여 갈 수 있다. 그것을 무시하고 대비하지 못한 자는 자신을 탓하여야 한다. 다른 사람 때문이라고 자신이 몰리는 상황을 자신의 책임으로 인정하지 못하면 그때부터 비극은 시작이 된다. 사람마다 항상 편안할 수는 없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몰아치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될 때 그때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누구나 한 번쯤은 그런 시련을 통과하게 된다. 그렇게 되지 않기를 간절히 소원하지만 그건 내 마음 뿐이다. There are times when things get crowded. That's not the moment. There must have been a sign already. It is no wonder that we have only tried to ignore such signs, but the signs that we are already forced to do so are always to be foreseen. Those who notice and prepare for such a forecast can avoid it. He who ignores it and fails to prepare, must blame himself. If he fails to accept his responsibility for the situation that he is driven by others, then the tragedy begins. 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