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끝까지 순종하는 복




[김대응칼럼 25]

끝까지 순종하는 복

obedient well-being to the end



한 해의 마지막 달을 맞이하였다. 한 해의 시작이 어제 같았는데 아니 벌써 라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는다. 멀게 여유만만하게만 여겨졌던 한 해의 끝이 이렇게 빨리 다가온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조금 더 열심히 하였더라면, 그때 그 기회를 잡았더라면, 그때는 왜 그랬을까 하는 기회를 선용하지 못한 뉘우침이 느껴지는 달이다.

보람 있는 한 해를 지나온 기쁨보다는 그렇지 못한 시간의 흐름이 아쉽기만 한 것은 누구나 느끼는 감정일 수 있다. 한 해의 끝은 끝인 동시에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시작이기도 하다. 끝과 시작 사이의 한 달인 12월은 만감이 교차하는 달인 것은 분명하다. 아쉬운 감정에 이끌리기보다 한 해 동안에 하나님이 베풀어주신 축복의 수를 헤아려 보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지금 이 순간까지 올 수 있었던 사실들에 대한 헤아림을 세어보는 것이다. 건강을 주신 것 하나, 가족의 사랑 가운데 지내온 것 둘, 교회를 통한 기도와 격려 셋, 학교생활을 통한 열매 넷, 친구들과의 관계 가운데 얻은 것 다섯... 등등 이러한 사실을 세어보면 감정이라는 것에 기울지 않고, 의지적으로 하나님이 베풀어주신 것에 대한 감사가 넘쳐 날 것이다. 

연말연시라는 분위기는 자칫하면 감정, 느낌으로 흐를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적어도 그리스도인이 걸어가는 길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가는 것이어야 한다. 내 감정, 내 느낌이 아닌 하나님이 내게 베풀어주신 각양 각종의 축복의 사실들을 냉철하게 적어보는 것이다. 하나씩 노트에 적다보면 모든 것이 다 하나님께로부터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의 분량은 의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잠시라도 잊게 되면 믿음과 상관이 없는 말을 할 수가 있다. 하나님이 주신 것이 많아도 그것을 깨닫지 못하면 어리석은 사람이 될 수 있다. 하나님의 백성인 우리들이 걸어가야 할 길은 변함없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이다. 순종하는 사람에겐 복이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복을 주었어도 복을 알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는 것이 저주인 것이다. 

순종하는 사람에겐 하나님이 주신 것들을 금방 깨닫는 능력이 있다. 이것도 하나님이 주신 복, 저것도 하나님이 주신 복이라고 한다. 불순종하는 사람은 왜? 나에겐 저 사람에게 주신 복이 없을까 투덜거린다. 여기까지 온 복, 연말 송구영신 예배 끝까지 순종하여 마지막 한 방울의 복까지 받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

It is the last month of the year. The beginning of the year was like yesterday, but I feel sad that it's. It remains to be regretted that the end of the year, which had been regarded as a far-fetched one, came so quickly. If he had worked a little harder, if he had taken the opportunity then, then it was a month of regret that he did not take the opportunity to ask why.

Rather than the joy that has passed a rewarding year, it can be a feeling that everyone feels that the flow of time has been disappointing. The end of the year is both the end and the beginning of a new year. It is clear that December, a month between the end and the beginning, is a cross between feelings. It would be wise to count the number of blessings God has given you in a year rather than to be drawn by regret.

It's about counting the facts that could have come to this moment. One that gave health, two that lived among family love, three prayers and encouragement through church, four fruits from school, five from relationships with friends. If you count these facts, you will be filled with gratitude for what God has done for you.

The atmosphere of year-end holidays tends to flow into emotions and feelings. At least the way for the Christ to walk must be by obedience to the word of God. I am not writing down my feelings, not my feelings, but the facts of God's blessings for me. Write down one by one and you will find that everything comes from God.

The quantity of faith in God must be conscious. If you forget for a moment, you can say thing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faith. If God does not realize the many things he has given, he can be a foolish man. The way for us, the people of God, to walk is invariably to obey God's word. Blessed are the obedient, and blessed are those who do not know and do not realize.

A submissive man has the ability to quickly realize what God has given him. The blessing of God is also said to be God's blessing. Why would anyone disobey you? I moan about the good fortune I gave him. I hope that I will be blessed by obedient obedience to the end of the year-end Song Gu-sin worship service and receive the last drop of the blessing.


-
"나도 믿음을 가지고 싶다." 하는 마음이 들 때 아래 "예수향기교회"를 클릭하세요.
When you feel like "I want to have faith too," click on "Jesus Hyanggi Church" below.


예수향기교회








참고: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한 것은 네이버 번역기 파파고를 사용하였습니다.
Note: Translating Korean into English used Naver translator Papago.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월호 텐트 쓰리섬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 진실과 416연대 심층보도_뉴스플러스

1. 세월호 쓰리섬 성행위 잊지 말아주세요! 아이들의 죽음을 팔아서 이권을 취하는 이들의 정체를 반드시 국민들은 알아야 한다. 이러한 사실을 쉬쉬하고 숨긴 이들 분노를 넘어 치가 떨리는 일이다. 세월호 천막 불륜 난리났다!!! (박완석 문화부장) / 신의한수 세월호 텐트 안에서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성적자기 결정권 이은택] 광화문 세월호 농성 옆에서 xx했다는게 진짜면 ▶ https://www.youtube.com/watch?v=u7Uux9W_Wi4 --- 2. 세월호광장 텐트에서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진실과 416연대<심층보도> 아침7시 종합뉴스|(심층보도) 세월호 천막 2+1 성행위 논란 아래를 사진을 클릭하세요!!! 세월호광장에서 일어난 세 남녀의 추문의 진실과 416연대 왜 세 남녀 대신 1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광장을 떠나야 했는가 2018년 05월 23일 (수) 17:42:25 [조회수 : 66967] 뉴스플러스 press1@news-plus.co.kr 2016년 4월 304명, 특히 250명의 꿈많은 학생들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에 슬퍼하며 광화문광장에 모여든 자원봉사와 활동가들이 상당수 씁쓸하게 광장을 떠났다. 그들은 왜 떠났을까.  416대책위원회가 중심이 돼 1만명 넘는 국민 참여와 모금으로 수십억원의 기금을 바탕으로 재단까지 설립됐지만 그들은 참가하지 않았다.  열성적인 자원봉사를 하며 팽목항 지킴이로 유명해진 00 삼촌 김 모 자원봉사자는 한국이 싫다며...

[김대응 시인] 월간 문학세계 초대시 "시작되는 곳" 2025년 4월호 게재시

 

주사파가 점령한 대한민국_국민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_김문수칼럼

국가위기의 정체를 바로 알고 국민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저는 학생운동, 노동운동을 하면서, 대학교에서 2번 제적되고 25년 만에 졸업장을 받았습니다. 7년 동안 공장생활하면서 노동조합위원장을 2년 동안 했습니다. 감옥에 두 번가서 2년5개월 동안 살았습니다. 감옥에서 김일성주의자, 주사파학생들 수백 명과 만나서 토론도 많이 하고 함께 생활도 했습니다. 광주교도소에서 남파간첩, 공작원, 국내간첩, 재일교포간첩, 100여명과 함께 1년 동안 살았습니다. 저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모택동주의에 심취하여 공부하고 공산혁명을 꿈꾸기도 했습니다. 저는 공산혁명을 꿈꾸는 선배들의 지도를 받으면서 비밀지하혁명 조직 생활도 10여년 했습니다. 저는 지금 집권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이해찬 대표, 이인영 원내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운동권 출신 대부분과 함께 활동하고 같은 시대를 꿈꾸고 투쟁해 왔습니다. 제가 50년 간 겪어왔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대한민국은 이미 종북 주사파와 좌파 연합에 넘어갔다고 판단됩니다. 1. 지금은 주사파가 대한민국의 권력을 잡았습니다. 6.25 전쟁 휴전 이후 우리 국민 대부분은 반공 자유민주주의를 신봉해왔습니다. 해방 직후부터 공산치하에서 살아봤던 이북 피난민의 체험과 해방 이후 빨갱이들의 폭동과 6.25 전쟁기의 만행이 너무 끔찍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족이나 친지 가운데 좌익 경험이 있었던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통혁당, 인혁당, 남민전 등 김일성의 남조선혁명노선을 따르는 지하혁명당 활동이 끊임없이 계속 시도됐습니다. 실패를 반복하던 중 198년 광주사태를 겪으며, 학생운동과 민주화를 열망하던 시민들은 피의 학살과 전두환의 집권이 미국의 묵인 아래 자행됐다며, 미국문화원에 방화하는 사건이 터지기도 하며, 급속히 반비 친북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대남방송을 들으며 정리한 김영환의 “강철서신”이 대표적인 주사파 운동권 문건입니다. 신군부의 12.12쿠데타와 광주사태, 그리고 민주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