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나가는 것 남는 것



[김대응칼럼 11]

지나가는 것, 남는 것.

jinaganeun geos namneun geos

To pass by; to remain.



태풍 솔릭이 온다고 온 나라가 비상 체제로 돌입을 하여 염려와 근심으로 대비를 철저히 한다고 하였다. 2010년 태풍 곤파스의 위력보다 큰 피해를 입힐 것으로 예보를 하였다. 한반도 전역을 쓸고 갈 태풍의 어마 무시한 피해를 상상하기만 해도 아찔하였다. 다행이다. 그토록 무서워하였던 태풍 솔릭은 소멸되고 태풍 솔릭의 시간은 지나갔다. 

1. taepung sollig-i ondago on nalaga bisang chejelo dol-ib-eul hayeo yeomlyeowa geunsim-eulo daebileul cheoljeohi handago hayeossda. 2010nyeon taepung gonpaseuui wilyeogboda keun pihaeleul ibhil geos-eulo yeboleul hayeossda. hanbando jeon-yeog-eul sseulgo gal taepung-ui eoma musihan pihaeleul sangsanghagiman haedo ajjilhayeossda. dahaeng-ida. geutolog museowohayeossdeon taepung sollig-eun somyeoldoego taepung sollig-ui sigan-eun jinagassda.

2. When Typhoon Solik arrives, the entire nation goes into emergency mode and is fully prepared with concern and anxiety. The forecast is that it will cause more damage than the force of Typhoon Kompas in 2010. The mere thought of the typhoon sweeping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as appalling. Thank God. Typhoon Solik, which had been so fearful, was extinguished and the time of Typhoon Solik passed.

올 것이라던 두려움, 대비하기 위하여 만반의 노력을 하였던 고생도 있었지만 기대이상으로 안전하게 한반도에 시원한 바람과 비를 뿌리며 지나갔다. 사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대비를 하는 것은 최선이지만 그 태풍의 강력의 힘은 그 이상이기에 당할 수 없다. 대비하고 안 되는 그 이상은 포기하거나 상황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다. 

1. ol geos-iladeon dulyeoum, daebihagi wihayeo manban-ui nolyeog-eul hayeossdeon gosaengdo iss-eossjiman gidaeisang-eulo anjeonhage hanbando-e siwonhan balamgwa bileul ppulimyeo jinagassda. salam-ui him-eulo hal su issneun geos-eun amu geosdo eobsda. daebileul haneun geos-eun choeseon-ijiman geu taepung-ui ganglyeog-ui him-eun geu isang-igie danghal su eobsda. daebihago an doeneun geu isang-eun pogihageona sanghwang-e matgineun subakk-e eobsneun geos-i uliga hal su issneun il-ida.

2. There was a time when we had to make every effort to prepare for the upcoming event, but we passed by safely spray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cool winds and rain. There's nothing you can do with a man's power. It is best to prepare, but the strength of the typhoon is beyond that. We can do what we can to give up or leave it to the situation as long as we can'

우리가 다른 점은 다른 이들은 막연하게 알 수 없는 대상에게 중얼거리듯이 기원하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이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사람의 기술로 돌로 만든 우상 앞에 비나이다 하기도 하고, 각 자가 기원을 하는 인간적인 방법대로 한다.

1. uliga daleun jeom-eun daleun ideul-eun mag-yeonhage al su eobsneun daesang-ege jung-eolgeolideus-i giwonhaneun geos-ida. jasin-ui ma-eum-i sin-ang-ui daesang-i doegido hago, salam-ui gisullo dollo mandeun usang ap-e binaida hagido hago, gag jaga giwon-eul haneun inganjeog-in bangbeobdaelo handa.

2. What makes us different is that we pray like muttering to an unknown subject. One's heart is subject to faith, one's skill is to rain upon an idol made of stone, and one's own originates in a humane way.

하나님의 백성이 하는 것은 차원이 다른 것이다. 우리가 믿는 신앙의 대상은 우주와 그 가운데 있는 만유를 지으신 천지의 주재이시고, 천하 만민에게 생명과 호흡과 만물을 친히 주시는 자이신 유일하신 하나님이시다. 이 살아계신 하나님께 한반도의 태풍의 위기가 지나가게 해 달라고 기도하는 것이다. 

1. hananim-ui baegseong-i haneun geos-eun chawon-i daleun geos-ida. uliga midneun sin-ang-ui daesang-eun ujuwa geu gaunde issneun man-yuleul jieusin cheonjiui jujaeisigo, cheonha manmin-ege saengmyeong-gwa hoheubgwa manmul-eul chinhi jusineun jaisin yuilhasin hananim-isida. i sal-agyesin hananimkke hanbandoui taepung-ui wigiga jinagage hae dallago gidohaneun geos-ida.

2. What the people of God do is different. The object of our faith is the temple of the universe and the heavenly earth in its midst, and the one God who gives life, breathing and all things to the people of the earth. I pray to the living God that the crisis of typhoon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pass.


이 태풍만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위기가 닥쳐올 때는 더욱 간절히 간구한다. 평상시에는 평범하게 기도하고, 일이 있을 때에는 그 일을 위하여 기도하고,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였을 때는 긴급기도를 한다. 하나님이 우리와 동행하고 있는 것은 우리는 알고 있다. 하나님은 우리를 지켜보고 있지만 종종 사람들은 하나님의 동행하심을 잊어버리고 살기도 한다. 감사할 일인데도 원망하기도 한다. 

1. i taepungman-eul wihan geos-i anin uli salm-ui modeun yeong-yeog-e wigiga dagchyeool ttaeneun deoug ganjeolhi ganguhanda. pyeongsangsieneun pyeongbeomhage gidohago, il-i iss-eul ttaeeneun geu il-eul wihayeo gidohago, jeonhyeo yesangchi moshan il-i balsaenghayeoss-eul ttaeneun gingeubgidoleul handa. hananim-i uliwa donghaenghago issneun geos-eun ulineun algo issda. hananim-eun ulileul jikyeobogo issjiman jongjong salamdeul-eun hananim-ui donghaenghasim-eul ij-eobeoligo salgido handa. gamsahal il-indedo wonmanghagido handa.

2. It is not just for this typhoon, but it is all the more desperate when a crisis is looming in every part of our lives. He usually prays normally, and prays for the work when there is work, and when something unexpected happens, he makes an emergency prayer. We know that God is accompanying us. God is watching us, but people often forget to live with him. It's something to be thankful for, but it's also something.

왜? 하나님이 행하신 일이라는 것을 모르기 때문이다. 나중에 알게 된다할지라도 그때 감사를 하지 않았기에 기회를 놓친 것이다. 슬쩍 지나가는 때가 있고, 잠시 머무는 때가 있고, 목표를 향하여 달려갈 때가 있다. 우리는 다 지나가는 인생이다. 그러나 삶의 향기는 남아있게 된다. 우리와 가까이 한 사람들에게 남겨질 아름다운 향기를 생각하며 서로 사랑하는 때가 되었으면 한다.    

1. wae? hananim-i haenghasin il-ilaneun geos-eul moleugi ttaemun-ida. najung-e alge doendahaljilado geuttae gamsaleul haji anh-assgie gihoeleul nohchin geos-ida. seuljjeog jinaganeun ttaega issgo, jamsi meomuneun ttaega issgo, mogpyoleul hyanghayeo dallyeogal ttaega issda. ulineun da jinaganeun insaeng-ida. geuleona salm-ui hyang-gineun nam-aissge doenda. uliwa gakkai han salamdeul-ege namgyeojil aleumdaun hyang-gileul saeng-gaghamyeo seolo salanghaneun ttaega doeeoss-eumyeon handa.

2. Why? Because I don't know that God has done it. Even if we find out later, we missed the opportunity because we didn't thank them then. There are times when you slip by, when you stay for a while, and when you run toward your goals. We're all past life. But the scent of life remains. I hope it's time for us to love each other, thinking of the beautiful scent that will be left to those close to us.

-
"나도 믿음을 가지고 싶다." 하는 마음이 들 때 아래 "예수향기교회"를 클릭하세요.

1. "nado mid-eum-eul gajigo sipda." haneun ma-eum-i deul ttae alae "yesuhyang-gigyohoe"leul keullighaseyo.

2. When you feel like "I want to have faith too," click on "Jesus Hyanggi Church" below.



예수향기교회









참고: 1번은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한 것은 구글 번역기를 사용하였습니다.
chamgo: 1beon-eun hangug-eoleul yeong-eolo beon-yeoghan geos-eun gugeul beon-yeoggileul sayonghayeossseubnida.

참고: 2번은 한국어를 영어로 번역한 것은 네이버 번역기 파파고를 사용하였습니다.
Note: No. 2 used Naver translator Papago to translate Korean into English.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월호 텐트 쓰리섬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 진실과 416연대 심층보도_뉴스플러스

1. 세월호 쓰리섬 성행위 잊지 말아주세요! 아이들의 죽음을 팔아서 이권을 취하는 이들의 정체를 반드시 국민들은 알아야 한다. 이러한 사실을 쉬쉬하고 숨긴 이들 분노를 넘어 치가 떨리는 일이다. 세월호 천막 불륜 난리났다!!! (박완석 문화부장) / 신의한수 세월호 텐트 안에서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성적자기 결정권 이은택] 광화문 세월호 농성 옆에서 xx했다는게 진짜면 ▶ https://www.youtube.com/watch?v=u7Uux9W_Wi4 --- 2. 세월호광장 텐트에서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진실과 416연대<심층보도> 아침7시 종합뉴스|(심층보도) 세월호 천막 2+1 성행위 논란 아래를 사진을 클릭하세요!!! 세월호광장에서 일어난 세 남녀의 추문의 진실과 416연대 왜 세 남녀 대신 1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광장을 떠나야 했는가 2018년 05월 23일 (수) 17:42:25 [조회수 : 66967] 뉴스플러스 press1@news-plus.co.kr 2016년 4월 304명, 특히 250명의 꿈많은 학생들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에 슬퍼하며 광화문광장에 모여든 자원봉사와 활동가들이 상당수 씁쓸하게 광장을 떠났다. 그들은 왜 떠났을까.  416대책위원회가 중심이 돼 1만명 넘는 국민 참여와 모금으로 수십억원의 기금을 바탕으로 재단까지 설립됐지만 그들은 참가하지 않았다.  열성적인 자원봉사를 하며 팽목항 지킴이로 유명해진 00 삼촌 김 모 자원봉사자는 한국이 싫다며...

[김대응 시인] 월간 문학세계 초대시 "시작되는 곳" 2025년 4월호 게재시

 

주사파가 점령한 대한민국_국민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_김문수칼럼

국가위기의 정체를 바로 알고 국민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저는 학생운동, 노동운동을 하면서, 대학교에서 2번 제적되고 25년 만에 졸업장을 받았습니다. 7년 동안 공장생활하면서 노동조합위원장을 2년 동안 했습니다. 감옥에 두 번가서 2년5개월 동안 살았습니다. 감옥에서 김일성주의자, 주사파학생들 수백 명과 만나서 토론도 많이 하고 함께 생활도 했습니다. 광주교도소에서 남파간첩, 공작원, 국내간첩, 재일교포간첩, 100여명과 함께 1년 동안 살았습니다. 저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모택동주의에 심취하여 공부하고 공산혁명을 꿈꾸기도 했습니다. 저는 공산혁명을 꿈꾸는 선배들의 지도를 받으면서 비밀지하혁명 조직 생활도 10여년 했습니다. 저는 지금 집권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이해찬 대표, 이인영 원내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운동권 출신 대부분과 함께 활동하고 같은 시대를 꿈꾸고 투쟁해 왔습니다. 제가 50년 간 겪어왔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대한민국은 이미 종북 주사파와 좌파 연합에 넘어갔다고 판단됩니다. 1. 지금은 주사파가 대한민국의 권력을 잡았습니다. 6.25 전쟁 휴전 이후 우리 국민 대부분은 반공 자유민주주의를 신봉해왔습니다. 해방 직후부터 공산치하에서 살아봤던 이북 피난민의 체험과 해방 이후 빨갱이들의 폭동과 6.25 전쟁기의 만행이 너무 끔찍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족이나 친지 가운데 좌익 경험이 있었던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통혁당, 인혁당, 남민전 등 김일성의 남조선혁명노선을 따르는 지하혁명당 활동이 끊임없이 계속 시도됐습니다. 실패를 반복하던 중 198년 광주사태를 겪으며, 학생운동과 민주화를 열망하던 시민들은 피의 학살과 전두환의 집권이 미국의 묵인 아래 자행됐다며, 미국문화원에 방화하는 사건이 터지기도 하며, 급속히 반비 친북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대남방송을 들으며 정리한 김영환의 “강철서신”이 대표적인 주사파 운동권 문건입니다. 신군부의 12.12쿠데타와 광주사태, 그리고 민주화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