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회] 임현수 목사, "북한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김일성 독재 왕조도 아닌, 그저 질(質) 나쁜 사이비 종교 집단“






<문화 일반>

임현수 목사, "북한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김일성 독재 왕조도 아닌, 그저 질(質) 나쁜 사이비 종교 집단“ 



"손등에 떨어지던… 北 지하 교인들 눈물 잊지 못해"



임현수 목사   


"북한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김일성 독재 왕조도 아닙니다. 그저 질(質) 나쁜 사이비 종교 집단에 지나지 않습니다."



18년간 북한에 550억원어치를 지원했다. 2015년 1월 갑자기 체포돼 2017년 8월 9일까지 949일 동안 독방에 갇혀 있었다. 134번의 독방 주일 예배, 3000끼의 '혼밥'을 보낸 임현수(64) 토론토 큰빛교회 원로 목사 이야기다. 임 목사는 최근 북한 지원 사역과 억류 경험을 적은 '내가 누구를 두려워하리요'(규장)를 펴냈다.

한국에서 CCC(한국대학생선교회) 간사를 지낸 임 목사는 1990년부터 캐나다 토론토 큰빛교회 담임목사를 지냈다. 1990년대부터 북한 돕기 사역을 벌이다 '고난의 행군' 시절 북한을 드나들기 시작했다. 1997년부터 150번 방북했다. 홍게 잡이, 황주 국수 공장, 대동강 즉석국수(라면) 공장, 고아 1만350명 먹이고 입히기, 이불·안경 80만 개 지원, 영어 교원 1500명 양성 등 18년간 교회를 통해 북한 돕기에 매진했다. 그러나 2015년 북한에 입국했다 갑자기 억류됐다. "김일성 대신 하나님을, 김정일 대신 예수님을 믿고, 당(黨) 대신 교회를 세워야 한다"는 그의 설교가 북한 당국에 노출된 것이 이유. 종신형을 선고받고 2년 7개월 간 독방에 갇혔다.



    북한을 돕다가 억류돼 2년 넘게 독방 생활을 한 임현수 목사는 “교화소에서 쓴 일기와 메모 등은 모두 빼앗겼지만 다행히 머리글자만 적은 설교 제목 700개는 가지고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북한을 돕다가 억류돼 2년 넘게 독방 생활을 한 임현수 목사는 “교화소에서 쓴 일기와 메모 등은 모두 빼앗겼지만 다행히 머리글자만 적은 설교 제목 700개는 가지고 올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태경 기자



임 목사는 "노동교화소는 하나님이 내게 마련해 주신 수도원이었다"고 했다. 물론 막막했다. "종신형이었으니까요. 그런데 그때 '내일 일을 염려하지 말고,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라'는 성경 말씀이 떠올랐습니다. '하루하루 살아요'라는 찬송가 구절처럼 하루 단위로 살았습니다." 10개월쯤 지나자 북한 당국은 성경을 넣어줬다. "그때처럼 간절하게 성경을 읽은 적이 없습니다. 영적(靈的)으로 제로, 바닥인 상태였지요. 병원에 입원했던 2개월 동안 한글로 다섯 번, 영어로 한 번 성경을 완독했습니다."

그는 감옥 생활을 통해 북한 주민들의 삶을 체득하게 됐다고 했다. "솔직히 18년 동안 '주는 자(者)'였기 때문에 주민들의 비참한 삶은 잘 몰랐죠. 그런데 감옥의 간수들조차 두루마리 화장지도 없이 지내는 모습을 보면서 북한을 제대로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임 목사가 전하는 북한의 모습은 비참하다. 특히 고아원 풍경이 그렇다. 그는 북한에 고아가 많은 이유를 무너진 성(性) 풍속 때문으로 본다. 1990년대 이른바 '고난의 행군' 이후로 생존 자체가 문제가 된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심지어 이런 고아를 돌보기 위해 결혼을 포기한 '처녀 엄마'가 영웅 취급 받는다고 한다.

지하 교회와 교인에 대한 묘사도 눈길을 끈다. 북한은 1970년대 초까지는 기독교인을 '박멸'했지만 이후로는 '방관'으로 돌아섰다고 한다. 북한 당국이 파악한 '가정(지하) 교회'만 250~300개에 이른다. 그는 "지하 교인들과 손잡고 예배드릴 때 손등에 떨어지던 뜨거운 눈물을 잊지 못한다"고 했다.

임 목사는 "사이비 종교 집단 같은 북한이기에 역으로 복음 전파의 가능성이 많다"고 했다. "북한은 70년 동안 유일신(唯一神) 사상으로 오리엔테이션 된 집단입니다. 수많은 신(神)을 모시는 나라와는 다르죠. 실제로 탈북자들도 '김일성에게 속았다'는 걸 깨달은 분들은 복음을 쉽게 받아들입니다." 임 목사는 그래서 '기도의 힘'을 더욱 강조한다. "제가 억류돼 있을 때 전 세계 크리스천이 보내온 편지가 2000통입니다. 그 편지를 보면서 외롭지 않았고, 용기를 얻었습니  다. 지금 우리가 북한 주민들에게 보낼 것 또한 기도입니다."

임 목사는 "문제는 한국 교회가 이런 상황에 준비돼 있지 않다는 점"이라고 했다. "통일은 어느 날 갑자기 하나님이 주실 것입니다. 이때를 위해 한국 교회는 더욱 회개하고 더욱 거룩해져야 합니다. 한국 교회 하나하나가 북한 주민 한 명 한 명을 입양하고 영적인 친척으로 삼을 준비를 해야 합니다."

김한수 종교전문기자 
[조선일보. 2019.08.09. 03:52 종이신문 A21면]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월호 텐트 쓰리섬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 진실과 416연대 심층보도_뉴스플러스

1. 세월호 쓰리섬 성행위 잊지 말아주세요! 아이들의 죽음을 팔아서 이권을 취하는 이들의 정체를 반드시 국민들은 알아야 한다. 이러한 사실을 쉬쉬하고 숨긴 이들 분노를 넘어 치가 떨리는 일이다. 세월호 천막 불륜 난리났다!!! (박완석 문화부장) / 신의한수 세월호 텐트 안에서 사랑과 위로의 성행위| 성적자기 결정권 이은택] 광화문 세월호 농성 옆에서 xx했다는게 진짜면 ▶ https://www.youtube.com/watch?v=u7Uux9W_Wi4 --- 2. 세월호광장 텐트에서 유족과 자원봉사녀의 성행위|진실과 416연대<심층보도> 아침7시 종합뉴스|(심층보도) 세월호 천막 2+1 성행위 논란 아래를 사진을 클릭하세요!!! 세월호광장에서 일어난 세 남녀의 추문의 진실과 416연대 왜 세 남녀 대신 10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광장을 떠나야 했는가 2018년 05월 23일 (수) 17:42:25 [조회수 : 66967] 뉴스플러스 press1@news-plus.co.kr 2016년 4월 304명, 특히 250명의 꿈많은 학생들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에 슬퍼하며 광화문광장에 모여든 자원봉사와 활동가들이 상당수 씁쓸하게 광장을 떠났다. 그들은 왜 떠났을까.  416대책위원회가 중심이 돼 1만명 넘는 국민 참여와 모금으로 수십억원의 기금을 바탕으로 재단까지 설립됐지만 그들은 참가하지 않았다.  열성적인 자원봉사를 하며 팽목항 지킴이로 유명해진 00 삼촌 김 모 자원봉사자는 한국이 싫다며...

[김대응 시인] 월간 문학세계 초대시 "시작되는 곳" 2025년 4월호 게재시

 

주사파가 점령한 대한민국_국민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_김문수칼럼

국가위기의 정체를 바로 알고 국민들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가? 저는 학생운동, 노동운동을 하면서, 대학교에서 2번 제적되고 25년 만에 졸업장을 받았습니다. 7년 동안 공장생활하면서 노동조합위원장을 2년 동안 했습니다. 감옥에 두 번가서 2년5개월 동안 살았습니다. 감옥에서 김일성주의자, 주사파학생들 수백 명과 만나서 토론도 많이 하고 함께 생활도 했습니다. 광주교도소에서 남파간첩, 공작원, 국내간첩, 재일교포간첩, 100여명과 함께 1년 동안 살았습니다. 저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모택동주의에 심취하여 공부하고 공산혁명을 꿈꾸기도 했습니다. 저는 공산혁명을 꿈꾸는 선배들의 지도를 받으면서 비밀지하혁명 조직 생활도 10여년 했습니다. 저는 지금 집권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 이해찬 대표, 이인영 원내대표, 심상정 정의당 대표 등 운동권 출신 대부분과 함께 활동하고 같은 시대를 꿈꾸고 투쟁해 왔습니다. 제가 50년 간 겪어왔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대한민국은 이미 종북 주사파와 좌파 연합에 넘어갔다고 판단됩니다. 1. 지금은 주사파가 대한민국의 권력을 잡았습니다. 6.25 전쟁 휴전 이후 우리 국민 대부분은 반공 자유민주주의를 신봉해왔습니다. 해방 직후부터 공산치하에서 살아봤던 이북 피난민의 체험과 해방 이후 빨갱이들의 폭동과 6.25 전쟁기의 만행이 너무 끔찍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족이나 친지 가운데 좌익 경험이 있었던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통혁당, 인혁당, 남민전 등 김일성의 남조선혁명노선을 따르는 지하혁명당 활동이 끊임없이 계속 시도됐습니다. 실패를 반복하던 중 198년 광주사태를 겪으며, 학생운동과 민주화를 열망하던 시민들은 피의 학살과 전두환의 집권이 미국의 묵인 아래 자행됐다며, 미국문화원에 방화하는 사건이 터지기도 하며, 급속히 반비 친북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북한의 대남방송을 들으며 정리한 김영환의 “강철서신”이 대표적인 주사파 운동권 문건입니다. 신군부의 12.12쿠데타와 광주사태, 그리고 민주화의...